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병선쌤
- 게임수업
- Kahoot
- 담임업무
- 구글
- 전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구글설문지
- 나다꿀팁
- 학급
- QR코드 만들기
- 스마트폰
- TBEC
- 구글 클래스룸
- 전주사대부고
- IT활용교육
- 유병선 선생님
- 유병선
- 영어
- 기초조사
- 전주사대부고 유병선
- Englishlesson
- 꿀팁
- 담임
- 카훗
- 스마트기기
- 영어수업
- g suite for education
- rosy_joseph
- 구글 이노베이터
- 쉽게
- Today
- Total
목록2022/08/19 (4)
TBEC-병선쌤

도교육청 기기 보급사업으로 크롬북 70대가 학교에 들어왔습니다. 수능완성 진도 압박에 시달리는 고3 영어교실에서 이를 어떻게 활용할까 고민이 되었습니다. 기기를 도입하고 교실에 있었던 작은 변화들을 살짝 나눠봅니다. 1. 단어시험 - 클래스카드 고3 2학기에는 '내신이 끝났다'라는 생각으로 학생들이 학습에 대한 긴장의 끈을 놓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아이들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어떻게 유지할까 고민이 되었습니다. 다행히 클래스카드 라이선스를 구매해둬서 단어시험을 매주 600여 개씩 보기로 했습니다. 1차 고사 전까지 수능완성에 나와있는 단어를 한번 전부 외워볼 수 있는 분량이었습니다. 출제, 진행, 채점, 성적처리 등의 과정이 자동화되기 때문에 진행하는 입장에서 굉장히 수월했습니다. 2. 맞춤형 해설강의 ..

철학자가 쓰신 책이라 그런지 어렵게 읽었지만, 생각해볼만한 부분이 참 많았던 좋은 책이었다. 상상 -> 잠재성 현실 -> 현실성 합해서 실재성 p. 53 [다빈치의 인체도, 인간은 소우주다] 생각: 어떤 교육방식이 여러 분야의 전문가, 그것도 역사에 남는 전설적인 인물을 탄생시켰는가? => His story라서 기록이 남은 것이었을까? 그 시기에 존재했던 다른 특출난 인물들은 사라졌을까? “인체의 비례와 그 원리는 단순히 인간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었다. 다빈치가 보기에 육체는 철선과 도르레, 톱니바퀴와 지렛대로 이루어지고 온갖 역학적 방법으로 움직이는 하나의 기계였다. 마찬가지로 기계도 역시 인체의 원리와 분리된 도구가 아니었다. 기계의 각 부분이 특정한 비율로 결합되어 작동된다면 인간처럼 움직일 수..

나름대로의 미래를 그려보며 읽어본 책이다. 김상균 교수님의 통찰을 갖고 싶었다. p. 173 / 킴 카다시안 아버지가 VR을 통해 재현되는 장면에서 기술로 '가능'해지는 부분들이 분명 많겠지만 관련해서 생각해볼 철학, 윤리적 문제들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능력도 중요해질 것 같습니다. 인간의 실재에 대해 어떻게 접근해야 할 것인가? - 데카르트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가능'한 것과 관련하여.. 4차 산업혁명의 최첨단에서 이야기하는 것들은 차치하고, ‘환경'과 관련하여 1차 산업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더 강조되어야 할 것입니다.

좋은 기회가 있어 존경하는 선생님 두 분과 독서모임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매주 일요일 5:30 AM! 시간이 너무 일러 걱정이 앞섰지만, 2주째를 지나고 있는 지금에서 생각해보면, '독서'라는 것이 시간이 나서 하는 활동이 아님을 더 깊이 깨달아가고 있습니다. 1. 짧은 후기 리얼월드스쿨을 통해 '배움'의 범위를 교실 안이 아닌 교실 밖, 그러니까 우리가 실재하는 실제 세상을 배경으로 둔다. 학생의 관심사에서 시작한 배움의 주제는 온 세상을 배경으로 하여 학생의 탐색, 연결, 실행 역량을 통해 구체화되며, 학생이 미래에 직업을 결정함에 있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배우기만 하는 학생이 아니라, 배움과 실천을 동시에 겪어볼 수 있는 좀 더 능동적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즉, 교복입은 시민을 길러내는 좋은..